ch 13 - Reliability

Page content

Intro

  • PLS-SEM의 분석과정에서 척도(측정변수와 잠재변수)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,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되지 않으면 모델 추정 결과가 의미가 없기 때문임
  • 즉, 구조모델의 추정을 실행하려면 사전에 반드시 측정모델에 대한 평가과정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 필요

I. 주요 개념

(1) 신뢰도

  • 잠재변수의 측정에 있어서 얼마나 일관성이 있는가의 정도 의미
    • 검사도구의 일관성을 말하며, 일관성이란 잠재변수를 여러 번에 걸쳐 측정했을 때 매번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정도.
    • 내적 일관성 신뢰(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)로 평가

(2) 타당도

  • 타당도의 기본 정의는 실제 측정하고자 하는 잠재변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 정도
    • PLS-SEM에서는 집중타당도(Convergent Validity)와 판별타당도(Discriminant Validity)를 사용한다.
    • 전자는 하나의 잠재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도의 구성항목들 간에 상관관계가 높아야 집중타당도가 있다고 볼 수 있고, 후자는 하나의 잠재변수와 다른 잠재변수간 상관관계가 낮을수록 판별 타당도가 높다고 판단함.

(3) PLS-SEM 분석 결과의 쳬계적인 평가 단계

  • 반영적 측정모델: 내적 일관성 신뢰도, 집중타당도, 판별타당도
  • 형성적 측정모델: 집중타당도, 다중공선성, 외부가중치와 외부적재치의 유의성과 적합성
  • 구조모델의 평가기준: 다중공선성, 결정계수 $R^2$, 효과크기 $f^2$, 예측적 적합성 $Q^2$, 경로계수의 유의성과 적합성
  • PLS-SEM의 평가 단계: 제 1단계는 측정모델(Outer Model)을 평가하는 것이며, 제 2단계는 구조모델(Inner Model)을 평가하는 것이다.

II.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

  • 이제 설문지를 분석해본다.
  • 필수 패키지를 확인한다.
library(readr) 
library(dplyr)
library(kableExtra) 
library(psy) # 신뢰도
library(corrplot) # 상관계수
library(psychometric) # 타당도 

(1) 데이터 수집

  • 먼저 수집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확인한다.
data <- read_csv('data/thesis_mater.csv') %>% 
  distinct() %>% # 중복데이터 제거
  rename(Position = founder_employee, # 출력을 위한 변수명 정리
         Age = age_of_respondent, 
         Education = Education_Level) %>% 
  slice(-c(1:10)) %>% 
  dplyr::select(-c(Firm_Age:Business_Area))

data %>% 
  head() %>% 
  kable() %>% 
  kable_styling("striped") %>% 
  scroll_box(width = "100%")
EI_1 EI_2 EI_3 EP_1 EP_2 EP_3 ER_1 ER_2 ER_3 SS_1 SS_2 SS_3 SC_1 SC_2 SC_3 SR_1 SR_2 SR_3 F1 F2 F3 NF1 NF2 NF3 Firm_Age Firm_Size WE1 WE2 WE3 gender founder_employee age_of_respondent Education_Level Business_Area
2 3 4 3 3 4 3 2 4 1 1 3 3 3 3 2 2 1 2 2 3 3 1 3 5 years above Above 15 members No, I don't have experience Yes Yes Female Employee 30-39 Undergraduate School Others
5 5 2 3 5 3 4 4 4 2 2 2 2 2 2 2 2 2 2 2 2 3 2 2 Less than 2 years Less than 5 members No, I don't have experience No Yes Male Employee Younger than 30 Undergraduate School Media and Entertainment
1 2 2 1 1 2 1 2 1 2 2 1 1 2 2 1 2 1 2 1 1 1 1 1 5 years above Less than 5 members As founder or employee, I have startup experiences more than 3 times No Yes Female Founder of Company Younger than 30 Undergraduate School Others
3 3 2 1 2 1 2 1 3 2 1 3 1 1 1 2 3 3 3 3 2 3 2 2 Less than 2 years Less than 5 members No, I don't have experience Yes Yes Male Employee Younger than 30 Undergraduate School Others
5 3 5 2 5 4 4 4 4 4 5 4 5 5 5 5 5 5 4 5 4 4 5 5 3-4 years Less than 5 members As founder or employee, I have startup experiences more than 3 times No Yes Male Founder of Company 30-39 Undergraduate School Others
1 3 3 1 3 3 2 3 1 4 1 2 3 3 1 2 2 1 1 2 3 1 3 1 5 years above 5-9 members As founder or employee, I have startup experience, one time No No Female Employee Younger than 30 Undergraduate School Others

(2) 상관관계 확인

  • 각 척도(Item)에서의 상관관계를 확인해본다.
M <- cor(data)

corrplot(M, type="upper", order="hclust", 
         col=RColorBrewer::brewer.pal(n=8, name="RdBu"))

  • 전체적으로 상관관계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.

(3) 내적 신뢰도: 크론바하 알파

  • 크론바하 알파는 내적 일관성 신뢰도에 관한 평가기준 중 하나이며, 0.6~0.9가 일반적인 수용 범위를 나타낸다.
    • 0.6 미만: 낮은 신뢰도
    • 0.6 이상: 수용 가능한 신뢰도
    • 0.7 이상: 바람직한 신뢰도
    • 0.8~0.9 이상: 높은 신뢰도
cronbach(data)
## $Alpha
## [1] 0.970241
## 
## $N
## [1] 93
  • 그러나 위 데이터는 전체 데이터셋에 대한 것을 나타나는 것이다.

조금 더 구체적으로 확인해보자.

result <- psych::alpha(data)
print(result$total)
##  raw_alpha std.alpha   G6(smc) average_r      S/N         ase     mean
##   0.970241 0.9705169 0.9815482 0.5783387 32.91772 0.004431653 1.990143
##         sd  median_r
##  0.8575819 0.5683649
  • 위 값을 보면, 처음 구했던 값과 동일하게 0.970241과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    • 해석: 문항들의 내적일관성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신뢰도 지수의 하나이다. 0.97이라는 점수는 신뢰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.

(4) 문항표 시각화

  • 문항표에 대한 시각화를 진행해본다.
mylevels <- c("Strongly Agree", "Agree", "Neither agree nor disagree", "Disagree", "Strongly Disagree")

data2 <- lapply(data, factor, labels = mylevels) %>% as.data.frame()

p <- likert(data2) 
plot(p)

III. Reference

신건권. (2018). 석박사학위 및 학술논문 작성 중심의 SmartPLS 3.0 구조방정식모델링. 서울: 청람.